표준 상세 조회
Home > 표준소개 > 품목별 적용표준 조회 > 표준 상세 조회
표준번호 KS C IEC 60076-1    
품목 변압기
표준명(한글) 전력용 변압기 - 제1부: 일반사항
표준명(영문) Power transformers - Part 1: General
제정일 2002-10-29 (제정)
최종 개정 확인일 2013-06-02 (개정)
적용범위 이 표준은 3상 또는 단상 전력용 변압기(단권 변압기를 포함)에 적용한다. 다음과 같은 소형 및 특수변압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정격 전력이 1 kVA보다 작은 단상 변압기 및 정격 전력이 5 kVA보다 작은 3상 변압기
- 정격 전압이 1 000 V를 초과하는 권선을 갖지 않는 변압기
- 계기용 변압기
- 철도 차량에 설치된 견인용 변압기
- 기동 변압기(기동 보상기)
- 시험용 변압기
- 용접용 변압기
- 방폭 및 채광 변압기
- 심해용 변압기
인용표준(규격) - KS C IEC 60076-2:2013, 전력용 변압기-제2부:온도 상승
- KS C IEC 60076-3:2002, 전력용 변압기-제3부:절연 등급, 절연 시험 및 이격
- KS C IEC 60076-5:2002, 전력용 변압기-제5부:단락 강도 시험
- KS C IEC 60076-10:2003, 전력용 변압기-제10부:소음 레벨의 측정
- KS C IEC 60076-11:2008, 전력용 변압기-제11부:건식 변압기
- KS C IEC 60137:2013, 1 000 V 이상의 교류전압을 위한 절연부싱
- KS C IEC 60214-1:2003, 부하 시 탭 절환장치
- KS C IEC 60296:2006, 전기 공학적 장치용 유체-변압기 및 수배전반용 미사용 광유계 절연유
- KS Q ISO 9001:2009,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
- IEC 60721-3-4:1995,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Part 3:Classification of group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their severities-Section 4 : Stationary use at nonweatherprotected locations
정격구분 각 권선에 대한 정격 전력은 문의 단계에서 구매자에 의해 명시되거나 구매자가 제작자에게 정격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변압기는 정격 판에 표시될 각각의 권선에 대해 부여된 정격 전력을 가진다. 정격 전력은 연속 부하에서 명시한다. 이것은 부하손과 온도 상승에 관련된 보증과 시험을 위한 기준 값이다.
예를 들어 다른 냉각 방법으로 인해, 권선에 다른 값의 피상전력이 다른 상황에서 부여된다면, 이들값의 최고 값이 정격 전력이다.
2권선 변압기는 양 권선이 동일한 오직 하나의 정격 전력 값을 가진다.
다권선 변압기의 경우, 구매자는 요구되는 전력 부하 조건을 명시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출력을 각각 명시한다. 변압기의 1차 권선에 정격 전압이 인가되고 2차 권선의 단자를 통해서 정격 전류가 흐를 때, 변압기는 그 양쪽 권선에 해당하는 정격 전력을 받는다.
변압기는 4.에 나타난 조건 하에서 KS C IEC 60076-2에서 열거한 온도 상승의 한도를 초과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정격 전력(다중 권선 변압기:권선 정격 전력의 명시한 조합)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 시험항목 11.1.2 일상 시험
11.1.2.1 모든 변압기의 일상 시험
a) 권선 저항 측정(11.2)
b) 변압비 및 각 변위 측정(11.3)
c) 단락 회로 임피던스 및 부하손 측정(11.4)
d) 무부하손 및 무부하 전류 측정(11.5)
e) 일상절연 시험(KS C IEC 60076-3)
f) 적용가능한 경우, 부하 시 탭 절환장치에 대한 시험(11.7)
g) 액체절연 변압기에 대한 가압 누설시험(기밀 시험)(11.8)
h) 가스절연 변압기에 대한 기밀 시험 및 압력시험(IEC 60076-15 참조)
i) 내부 설치된 변류기에 대한 변류비 및 극성 점검
j) 코어 혹은 프레임 절연의 액체절연 변압기의 경우, 코어 및 프레임 절연 점검(11.12)
11.1.2.2 최고전압 >72.5 kV인 변압기의 경우 추가적인 일상 시험
a) 권선-대지 간 및 권선 간의 정전용량 측정
b) 각 권선-대지 및 권선 간의 d.c. 절연 저항 측정
c) 절연시스템 정전용량의 유전체손실계수(tan δ ) 측정
d) 탭 절환장치를 제외한 각각의 분리된 절연액체함으로부터 나온 절연액체 내의 용해 가스 측정
e) 정격 전압의 90 % 및 110 %에서의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전류 측정(11.5)

11.1.3 형식 시험
a) 형식 온도 상승 시험(KS C IEC 60076-2)
b) 형식 절연 시험(KS C IEC 60076-3)
c) 보증되는 소음값이 규정된 각각의 냉각방식에 대한 소음측정(KS C IEC 60076-10)
d) 팬 및 펌프모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측정
e) 정격 전압의 90 % 및 110 %에서의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전류 측정

11.1.4 특별 시험
a) 특별 절연 시험(KS C IEC 60076-3)
b) 권선의 최고 온도점 온도 상승 측정
c) 권선과 접지 간 및 권선 간의 정전용량 측정
d) 절연시스템 정전용량의 유전체손실계수(tan δ ) 측정
e) 과도 전압 전달 특성의 결정(KS C IEC 60076-3의 부속서 B)
f) 3상 변압기에서 영상 임피던스의 측정(11.6)
g) 단락 강도 시험(KS C IEC 60076-5)
h) 각 권선과 접지 간 및 권선 간의 직류 절연저항값 측정
i) 액체절연변압기의 경우, 진공상태변형 시험(11.9)
j) 액체절연변압기의 경우, 압력상태변형 시험(11.10)
k) 액체절연변압기의 경우, 현장에서의 진공기밀 시험(11.11)
l) 주파수응답 측정(주파수응답 분석). 시험절차는 제조사와 구매자 간의 협의에 따른다.
m) 외부 도장상태 확인(KS D ISO 2178 및 KS M ISO 2409 또는 구매자 요구에 따름.)
n) 절연 액체 내의 용해가스 측정
o) (구매자의 요구 시) 운송의 적합여부에 대한 변압기 외함의 기계적 시험 혹은 검사
p) 운송 준비된 상태의 변압기 무게 결정. 1.6 MVA 이하의 변압기의 경우는 측정한다. 그 이상의 변압기에 대하여는 제작자와 구매자 간의 협의에 따라 측정 혹은 계산한다.
표준이력
번호 변경일자 구분 고시번호 제정.개정.폐지 사유
1 2002-10-29 제정 2002-1388
2 2007-11-19 확인 2007-0993 5년 도래한 규격으로 업체의 활용도가 높으며 개정 및 폐지에 관한 특별한 사유가 없음으로 확인함.
3 2012-11-05 확인 2012-0580 5년 도래한 한국산업표준의 확인
4 2013-06-02 개정 2013-0296 국제기준(IEC) 개정에 따른 부합화
공인검수면제 대상업체 해당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