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표준화
Home > 표준소개 > 국내외 표준화
주요 국제표준화기구
주요 국제표준화기구 기구명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설립 1906년, 비정부기구(NGO)
역할 전기전자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 보급
회원 83개국(2016년 기준)
표준 7,148종(2016년 기준)
홈페이지 http://www.iec.ch
기구명 ISO(국제표준화기구)
설립 1947년, 비정부기구(NGO)
역할 지적, 과학, 기술, 경제 등 일반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 보급
회원 163개국(2016년 기준)
표준 21,478종(2016년 기준)
홈페이지 http://www.iso.org
기구명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설립 1865년, UN 산하 전문기구
역할 유무선 통신, 전파, 방송, 위성주파수 등에 대한 기술기준 및 표준의 개발, 보급과 국제협력 수행
회원 193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
표준 약 4,000종(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itu.int
주요 지역표준화기구 기구명 PASC(태평양지역 표준회의)
설립 1973년
역할 ISO/IEC와의 협력, 태평양 지역 국가간 협력 및 상호이익 증진
회원 24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pascnet.org
기구명 APEC/SCS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표준적합성소위원회)
설립 APEC은 1989년 설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정부간 지역협력체, SCSC는 1994년 설립
역할 무역투자자유화와 경제기술협력에 기반한 회원국들의 공동번영 도모, 무역투자 활성화를 위해 산하에 SCSC(표준적합소위원회)를 두어 표준 및 적합성평가 협력
회원 21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apec.org/Groups/Committee-on-Trade-and-Investment
기구명 CEN(유럽표준화위원회)
설립 1975년
역할 ISO와의 협력, 전기 및 통신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유럽표준 개발
회원 34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cen.eu
기구명 CENELEC(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
설립 1973년
역할 IEC와의 협력, 전기 분야의 유럽표준 개발
회원 34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cenelec.eu
기구명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설립 1988년
역할 ITU와의 협력, 통신 분야의 유럽표준 개발
회원 68개국 800개 단체(2017년 기준,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etsi.org
주요 사실상 표준화기구 기구명 IEEE(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설립 1884년
역할 전기 전자 기술 분야의 전문가 협회, 컴퓨터 통신, 전력, 에너지 기술 등의 표준 개발(1100여개 표준, 600개 이상 표준 개발 중/2017년 기준/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ieee.org
기구명 ASME(미국기계학회)
설립 1880년
역할 기계 공학 및 각종 공학 분야의 기술, 교육, 연구, 표준 개발에 중점을 둔 전문가 기관
홈페이지 http://www.asme.org
기구명 ASTM(미국재료시험학회)
설립 1898년
역할 원재료,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 산업 전반에 대한 기술 표준을 개발, 철강, 금속, 화학, 건자재 분야의 표준을 발행
홈페이지 http://www.astm.org
기구명 SAE(미국자동차공학회)
설립 1905년
역할 자동차 분야의 전문가 모임, 일반 승용차, 항공 우주, 상용 차량에 대한 표준 개발
홈페이지 http://www.sae.org
우리나라 표준
국가표준 이란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정확성, 합리성 및 국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으로 공인된 과학적·기술적 공공기준으로서 산업표준·측정표준·참조표준 등 ‘국가표준기본법’에서 규정하는 모든 표준

한국산업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은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 및 소관부처의 장이 고시함으로써 확정되는 국가표준으로서 약칭하여 KS로 표시한다. 1961년 공업표준화법 제정에 따라 1962년 3,000종의 국가표준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으며, WTO/TBT협정과 APEC/SCSC에서의 권고에 따라 국제표준과 대응되는 표준의 경우 부합화하여 운영한다.

한국산업표준은 기본부문(A)부터 정보부문(X)까지 21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제품표준 : 제품의 향상ㆍ치수ㆍ품질 등을 규정한 것
② 방법표준 : 시험ㆍ분석ㆍ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것
③ 전달표준 : 용어ㆍ기술ㆍ단위ㆍ수열 등을 규정한 것
한국산업표준의 분류
대분류 중분류
기본부문(A) 기본일반/방사선(능)관리/가이드/인간공학/신인성관리/문화/사회시스템/기타
기계부문(B) 기계일반/기계요소/공구/공작기계/측정계산용기계기구ㆍ물리기계/일반기계/산업기계/농업기계/열사용기기ㆍ가스기기/계량ㆍ측정/산업자동화/기타
전기전자부문(C) 전기전자일반/측정ㆍ시험용 기계기구/전기ㆍ전자재료/전선ㆍ케이블ㆍ전로용품/전기 기계기구/전기응용 기계기구/전기ㆍ전자ㆍ통신부품/전구ㆍ조명기구/배선ㆍ전기기기/반도체ㆍ디스플레이/기타
금속부문(D) 금속일반/원재료/강재/주강ㆍ주철/신동품/주물/신재/2차제품/가공방법/분석/ 기타
광산부문(E) 광산일반/채광/보안/광산물/운반/기타
건설부문(F) 건설일반/시험ㆍ검사ㆍ측량/재료ㆍ부재/시공/기타
일용품부문(G) 일용품일반/가구ㆍ실내장식품/문구ㆍ사무용품/가정용품/레저ㆍ스포츠용품/악기류/기타
식료부문(H) 식품일반/농산물가공품/축산물가공품/수산물가공품/기타
환경부문(I) 환경일반/환경평가/대기/수질/토양/폐기물/소음진동/악취/해양환경/기타
생물부문(J) 생물일반/생물공정/생물화학ㆍ생물연료/산업미생물/생물검정ㆍ정보/기타
섬유부문(K) 섬유일반/피복/실ㆍ편직물ㆍ직물/편ㆍ직물제조기/산업용 섬유제품/기타
요업부문(L) 요업일반/유리/내화물/도자기ㆍ점토제품/시멘트/연마재/기계구조 요업/전기전자 요업/원소재/기타
화학부문(M) 화학일반/산업약품/고무ㆍ가죽/유지ㆍ광유/플라스틱ㆍ사진재료/염료ㆍ폭약/안료ㆍ도료잉크/종이ㆍ펄프/시약/화장품/기타
의료부문(P) 의료일반/일반의료기기/의료용설비ㆍ기기/의료용 재료/의료용기ㆍ위생용품/재활보조기구ㆍ관련기기ㆍ고령친화용품/전자의료기기/기타
품질경영부문(Q) 품질경영 일반/공장관리/관능검사/시스템인증/적합성평가/통계적기법 응용/기타
수송기계부문(R) 수송기계일반/시험검사방법/공통부품/자전거/기관ㆍ부품/차쳬ㆍ안전/전기전자장치ㆍ계기/수리기기/철도/이륜자동차/기타
서비스부문(S) 서비스일반/산업서비스/소비자서비스/기타
물류부문(T) 물류일반/포장/보관ㆍ하역/운송/물류정보/기타
조선부문(V) 조선일반/선체/기관/전기기기/항해용기기ㆍ계기/기타
항공우주부문(W) 항공우주일반/표준부품/항공기체ㆍ재료/항공추진기관/항공전자장비/지상지원장비/기타
정보부문(X) 정보일반/정보기술(IT) 응용/문자세트ㆍ부호화ㆍ자동인식/소프트웨어ㆍ컴퓨터그래픽스/네트워킹ㆍIT상호접속/정보상호기기ㆍ데이터 저장매체/전자문서ㆍ전자상거래/기타
한국산업표준(KS) 현황
연도 제정 개정 확인 폐지 유효KS(종)
2018 20 49 11 8 20,258
2017 341 1,407 3,505 208 20,282
2016 311 1,482 1,963 554 20,149
2015 170 1,520 1,763 298 20,392
2014 982 2,171 2,010 945 20,520
2013 180 847 3,669 3,827 20,482
2012 525 1,518 4,681 319 24,129
2011 411 1,050 3,441 110 23,923
2010 361 984 2,488 111 23,622
2000 290 427 1,456 41 10,845
1990 368 549 1,388 216 8,552
1980 327 632 1,722 50 7,029
1970 159 154 297 4 1,846
1962 300 0 0 0 300
* 출처 :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2018.3.5.), 전기전자분야(C) 유효표준은 3,580종으로 가장 많음
한국전력공사 및 철도공사 표준
한전규격 o 한전 구매규격(ES+GS) : 1164종
- 표준구매규격(ES) : 295종
- 일반구매규격(GS) : 869종
철도공사,철도시설공단,한국철도공사표준 o 한국철도표준규격(KRS) : 전철전력용품(148종)
o 한국철도공단표준(KRSA) : 전철전력(155종)
o 한국철도공사표준(KRCS) : 전기 및 신호용품(155종)
* 출처 : 한전 전자조달시스템, 철도산업정보센터, 2018. 3. 7 기준